본문 바로 가기
국내주식
개인연금
퇴직연금
패시브
KBSTAR Fn플랫폼테마
(427120)
공유하기
2023.12.11 기준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국내 플랫폼 비즈니스의 경쟁우위에 있는 핵심기업에 투자하는 ETF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자리잡은 플랫폼 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국내 핵심기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KEY POINT
전통적인 사업 영역에 빠르게 침투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플랫폼 기업에 선별 투자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시너지효과가 발생하는 플랫폼 생태계에서, 플랫폼 기업들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술, 유통망 등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본정보: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KBSTAR Fn플랫폼테마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427120)
FnGuide 플랫폼테마 지수
2022.05.17
20,000
3,518,082,977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홍콩상하이은행 (HSBC은행)
7,02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7,036
19,764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45%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4%,
신탁 : 0.02%,
일반사무 : 0.02%)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KB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유진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유진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KBSTAR Fn플랫폼테마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427120)
FnGuide 플랫폼테마 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22.05.17
20,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3,518,082,977
홍콩상하이은행 (HSBC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7,02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7,036
거래량(주)
19,764
AP, LP 표
총보수(%)
연 0.45%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4%,
신탁 : 0.02%,
일반사무 : 0.02%)
분배금 지급 기준일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KB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유진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KB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유진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지수소개
FnGuide 플랫폼테마지수는 코스피 및 코스닥시장 종목 중에서 플랫폼테마와 관련있는 키워드 필터링을 통과한 종목들 중, FICS 소분류 기준으로 인터넷 서비스, IT 서비스, 미디어 등 플랫폼 산업과 관련성 있는 종목들에 대해 유동성 및 시가총액을 반영하여 산출하는 테마 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3-12-11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카페24
10.02
2
NAVER
8.50
3
아프리카TV
7.24
4
카카오
7.13
5
NHN
6.90
6
디어유
6.57
7
다날
5.75
8
솔트룩스
5.22
9
한글과컴퓨터
4.97
10
갤럭시아머니트리
4.87
업종별 비중
*투자하는 주식의 업종별 비중
2023.12.11 기준
업종별 비중: 순위, 업종, 비중(%) 표
순위
업종
비중(%)
1
IT
92.73
2
경기소비재
4.77
3
의료
2.49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15.84
0.51
1.39
-2.18
-
8.23
-27.67
툴팁 열기 기초지수
15.87
0.53
1.54
-1.18
-
9.15
-25.62
툴팁 열기 초과성과
-0.03
-0.03
-0.16
-1.01
-
-0.92
-2.06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3.12.08
7,025
2.107상승
7,036.43
2.001상승
2023.12.07
6,880
0.879상승
6,898.34
1.129상승
2023.12.06
6,820
5.328상승
6,821.32
4.874상승
2023.12.05
6,475
-1.595하락
6,504.24
-1.438하락
2023.12.04
6,580
1.857상승
6,599.18
1.778상승
2023.12.01
6,460
-0.231하락
6,484.1
0.013상승
2023.11.30
6,475
0.387상승
6,483.22
0.218상승
2023.11.29
6,450
0.624상승
6,469.09
0.965상승
2023.11.28
6,410
0.391상승
6,407.25
0.243상승
2023.11.27
6,385
-1.542하락
6,391.68
-1.489하락
2023.11.24
6,485
0.464상승
6,488.56
0.146상승
2023.11.23
6,455
0.623상승
6,479.08
1.054상승
2023.11.22
6,415
0.078상승
6,411.45
-0.382하락
2023.11.21
6,410
0.312상승
6,436.1
0.705상승
2023.11.20
6,390
2.815상승
6,391.03
2.316상승
2023.11.17
6,215
-1.661하락
6,246.56
-1.027하락
2023.11.16
6,320
1.935상승
6,311.41
0.918상승
2023.11.15
6,200
1.390상승
6,253.94
2.291상승
2023.11.14
6,115
2.514상승
6,113.87
2.235상승
2023.11.13
5,965
-1.241하락
5,980.18
-1.538하락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주)/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 / 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카페24
KR7042000000
488
10.02
14,103,200
2
NAVER
KR7035420009
55
8.5
11,962,500
3
아프리카TV
KR7067160002
135
7.24
10,192,500
4
카카오
KR7035720002
194
7.13
10,029,800
5
NHN
KR7181710005
415
6.9
9,711,000
6
디어유
KR7376300000
288
6.57
9,244,800
7
다날
KR7064260003
1,578
5.75
8,095,140
8
솔트룩스
KR7304100001
283
5.22
7,343,850
9
한글과컴퓨터
KR7030520001
479
4.97
6,988,610
10
갤럭시아머니트리
KR7094480001
525
4.87
6,851,250
11
폴라리스오피스
KR7041020009
1,123
3.73
5,255,640
12
코나아이
KR7052400009
259
3.04
4,278,680
13
지니뮤직
KR7043610005
1,088
2.49
3,497,920
14
쿠콘
KR7294570007
165
2.49
3,506,250
15
마음AI
KR7377480009
133
2.47
3,477,950
16
유비케어
KR7032620007
698
2.43
3,413,220
17
핑거
KR7163730005
186
1.96
2,756,520
18
플리토
KR7300080009
101
1.93
2,716,900
19
맥스트
KR7377030002
407
1.89
2,653,640
20
비즈니스온
KR7138580006
208
1.83
2,577,120
21
원티드랩
KR7376980009
197
1.58
2,228,070
22
바이브컴퍼니
KR7301300000
244
1.22
1,712,880
23
스코넥
KR7276040003
241
1.18
1,665,310
24
미스터블루
KR7207760000
889
1.15
1,623,314
25
드림어스컴퍼니
KR7060570009
524
1.09
1,535,320
26
이노뎁
KR7303530000
122
0.88
1,240,740
27
원화예금
KRD010010001
1,052,055
0.75
1,052,055
28
위세아이텍
KR7065370009
121
0.72
1,009,140
투자 유의사항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신뢰할 만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함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투자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외의 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인 경우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변동성으로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가입하시기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 및 계약권유문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