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국내채권
개인연금
퇴직연금
패시브
KBSTAR 국고채3년
(114100)
공유하기
2023.12.11 기준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국고채 3종목 투자를 통해 듀레이션 약 3년 내외의 채권투자성과를 기대하는 ETF
KBSTAR 국고채3년 ETF는 대표 안전자산인 국고채에 투자하는 ETF로, 각 종목을 채권액면금액 동일비중방식으로 투자하는 국내최초 채권형 ETF입니다.
KEY POINT
100억 단위로 거래되는 채권 투자를 약10만원 단위 소액으로 투자
국내 대표 안전자산인 국고채를 소액으로 투자해 채권의 자본차익 및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채권 단일투자 시 발생하는 만기 롤오버 없이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KBSTAR 국고채3년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채권)
(114100)
KTB채권지수
2009.07.29
1,000
28,146,365,483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한국씨티은행
107,78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7,840
112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115%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08%,
신탁 : 0.01%,
일반사무 : 0.015%)
3, 6, 9, 12월 10일의 전 영업일 기준(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신한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SK증권, 교보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KBSTAR 국고채3년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채권)
(114100)
KTB채권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09.07.29
1,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28,146,365,483
한국씨티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107,78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7,840
거래량(주)
112
AP, LP 표
총보수(%)
연 0.115%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08%,
신탁 : 0.01%,
일반사무 : 0.015%)
분배금 지급 기준일
3, 6, 9, 12월 10일의 전 영업일 기준(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신한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SK증권, 교보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
지수소개
KTB 국고채 지수(KTB Index)는 KRX의 장내시장 및 장외시장의 호가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전체 채권시장의 정보를 반영한 지수로 유동성이 풍부한 KTB 3년 국채선물을 지수구성종목으로 하여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3-12-11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국고채권03125-2606(23-4)
34.14
2
국고채권04250-2512(22-13)
31.42
3
국고채권03250-2803(23-1)
26.72
4
원화예금
5.94
5
국고채권03125-2709(22-8)
1.77
분배금 지급현황
· 최근 3년의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지해 드립니다.
분배금 지급현황 :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표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2023-12-08
2023-12-12
1,260
2023-09-08
2023-09-12
520
2023-06-08
2023-06-12
1,250
2023-03-09
2023-03-13
560
2022-12-08
2022-12-12
950
2022-09-08
2022-09-14
370
2022-06-09
2022-06-13
500
2022-03-08
2022-03-11
290
2021-12-09
2021-12-13
333
2021-09-09
2021-09-13
208
2021-06-09
2021-06-11
312
2021-03-09
2021-03-11
187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1.38
1.84
1.82
3.62
1.19
3.84
47.69
툴팁 열기 기초지수
1.33
1.84
1.86
3.75
1.60
3.92
47.13
툴팁 열기 초과성과
0.04
-
-0.05
-0.13
-0.42
-0.09
0.55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3.12.08
107,785
0.083상승
107,820.98
0.127상승
2023.12.07
107,695
-1.314하락
107,683.34
-0.095하락
2023.12.06
109,130
0.137상승
107,786.68
-1.087하락
2023.12.05
108,980
0.128상승
108,972.16
0.134상승
2023.12.04
108,840
0.124상승
108,825.74
0.159상승
2023.12.01
108,705
0.064상승
108,632.5
0.011상승
2023.11.30
108,635
-0.105하락
108,620.33
-0.084하락
2023.11.29
108,750
0.285상승
108,711.79
0.262상승
2023.11.28
108,440
0.120상승
108,427.2
0.121상승
2023.11.27
108,310
0.027상승
108,295.87
-0.005하락
2023.11.24
108,280
-0.119하락
108,280.89
-0.086하락
2023.11.23
108,410
0.106상승
108,374.29
0.081상승
2023.11.22
108,295
-0.050하락
108,286.2
-0.065하락
2023.11.21
108,350
0.055상승
108,357.23
0.062상승
2023.11.20
108,290
0.060상승
108,290.07
0.083상승
2023.11.17
108,225
0.078상승
108,178.99
0.025상승
2023.11.16
108,140
0.050상승
108,151.65
0.135상승
2023.11.15
108,085
0.390상승
108,005.77
0.343상승
2023.11.14
107,665
0.051상승
107,635.59
0.050상승
2023.11.13
107,610
0.060상승
107,581.65
-0.055하락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주)/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 / 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설정현금액
CASH00000001
107,840,480
100
107,840,480
2
국고채권03125-2606(23-4)
KR103501GD65
36,538,462
34.14
36,821,963
3
국고채권04250-2512(22-13)
KR103501GCC0
32,692,308
31.42
33,878,711
4
국고채권03250-2803(23-1)
KR103501GD32
28,846,154
26.72
28,817,769
5
원화예금
KRD010010001
6,408,199
5.94
6,408,199
6
국고채권03125-2709(22-8)
KR103501GC90
1,923,077
1.77
1,913,838
투자 유의사항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신뢰할 만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함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투자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외의 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인 경우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변동성으로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가입하시기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 및 계약권유문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