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국내채권
개인연금
퇴직연금
액티브
KBSTAR KIS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385550)
공유하기
2022.07.04 기준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신용등급 AA-이상의 국내 단기채권시장의 흐름을 추종하며 초과수익 추구하는 ETF
KBSTAR KISE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ETF는 신용등급 AA-이상의 단기 국공채 및 크래딧 채권에 주로 투자합니다.
KEY POINT
소액으로 단기 채권시장에 분산투자 가능
보유시 만기가 감소하는 개별채권과 달리 듀레이션 유지가 가능합니다.
신용등급 AA-이상으로 구성되어 안정적이고, 국내 단기 채권 시장의 평균 듀레이션과 유사하여 국내 단기 채권 시장의 흐름을 반영합니다.
기본정보: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KBSTAR KIS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채권)
(385550)
KIS 단기종합채권 지수(AA-이상)
2021.05.26
1,000
344,515,425,964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우리은행
100,790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0,764
731,032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05%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39%,
신탁 : 0.005%,
일반사무 : 0.005%)
회계기간종료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부국증권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KBSTAR KIS단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채권)
(385550)
KIS 단기종합채권 지수(AA-이상)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21.05.26
1,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344,515,425,964
우리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100,790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0,764
거래량(주)
731,032
AP, LP 표
총보수(%)
연 0.05%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39%,
신탁 : 0.005%,
일반사무 : 0.005%)
분배금 지급 기준일
회계기간종료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부국증권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지수소개
KIS단기종합채권지수(AA-이상)는 국내 단기채권시장을 대표하는 채권 750여 종목을 바탕으로 신용등급 AA- 이상, 잔존만기 6개월~1년, 발행잔액 500억원 이상인 채권으로 구성된 지수이며, 듀레이션은 0.75년 수준입니다. 채권투자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자본수익, 이자재투자수익이 모두 반영된 Total Return 지수로 산출됩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2-07-04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원화예금
18.16
2
통화안정증권01580-2303-01
7.88
3
통화안정증권01500-2301-01
5.28
4
국고채권03000-2303(13-2)
2.67
5
한국도로공사고속도로건설채권679
2.66
6
중소기업진흥채권592
2.65
7
신세계132-2
2.65
8
한국도로공사고속도로건설채권716
2.64
9
케이씨씨65-2
2.64
10
하나캐피탈350-1
2.64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0.11
0.10
0.44
0.89
-
0.46
0.76
툴팁 열기 기초지수
-0.26
-0.11
0.13
0.56
-
0.14
0.43
툴팁 열기 초과성과
0.15
0.21
0.31
0.32
-
0.32
0.33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2.07.01
100,790
-0.029하락
100,761.16
-0.022하락
2022.06.30
100,820
-
100,784.06
-0.016하락
2022.06.29
100,820
-
100,800.66
-0.009하락
2022.06.28
100,820
0.004상승
100,810.13
-0.009하락
2022.06.27
100,815
-0.024하락
100,819.41
0.007상승
2022.06.24
100,840
0.019상승
100,801.68
-0.003하락
2022.06.23
100,820
-0.009하락
100,805.07
0.003상승
2022.06.22
100,830
0.024상승
100,801.33
-
2022.06.21
100,805
-
100,800.53
0.013상승
2022.06.20
100,805
0.014상승
100,787.27
0.007상승
2022.06.17
100,790
-0.009하락
100,774.51
-0.028하락
2022.06.16
100,800
-0.064하락
100,803.46
-0.075하락
2022.06.15
100,865
-0.024하락
100,879.52
-0.014하락
2022.06.14
100,890
-0.014하락
100,894.46
-0.032하락
2022.06.13
100,905
-0.019하락
100,927.14
0.006상승
2022.06.10
100,925
-0.014하락
100,909.68
0.005상승
2022.06.09
100,940
0.044상승
100,904.01
0.009상승
2022.06.08
100,895
-0.014하락
100,894.07
-0.004하락
2022.06.07
100,910
0.014상승
100,898.91
0.006상승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주)/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 / 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원화예금
KRD010010001
18,302,893
18.16
-
2
통화안정증권01580-2303-01
KR310101GC38
7,980,846
7.88
9,949
3
통화안정증권01500-2301-01
KR310102GC11
5,320,564
5.28
10,007
4
국고채권03000-2303(13-2)
KR1035027336
2,660,282
2.67
10,109
5
한국도로공사고속도로건설채권679
KR350702G830
2,660,282
2.66
10,068
6
중소기업진흥채권592
KR351601G825
2,660,282
2.65
10,036
7
신세계132-2
KR6004172815
2,660,282
2.65
10,044
8
케이씨씨65-2
KR6002382820
2,660,282
2.64
10,002
9
롯데카드400-2
KR60306249A8
2,660,282
2.64
10,007
10
하나캐피탈350-1
KR6019801C44
2,660,282
2.64
9,991
11
한국도로공사고속도로건설채권716
KR350702G9A7
2,660,282
2.64
10,004
12
신한은행26-01-이-1-B
KR6000012C15
2,660,282
2.63
9,978
13
신한은행25-12-이-1-A
KR6000014BC5
2,660,282
2.63
9,959
14
국고채권01250-2212(19-7)
KR103501G9C9
2,660,282
2.63
9,964
15
BNK캐피탈274-1
KR6145764C26
2,660,282
2.63
9,953
16
하나금융투자4-2
KR6030752A18
2,660,282
2.63
9,950
17
SK290-1
KR60347319B8
2,660,282
2.63
9,973
18
JB 우리캐피탈377-4
KR6079317923
2,660,282
2.63
9,955
19
호텔롯데50-1
KR6101181A26
2,660,282
2.62
9,929
20
롯데지주6
KR6004991A48
2,660,282
2.62
9,912
21
부산은행2021-02이2A-09
KR6005281B27
2,660,282
2.61
9,897
22
경남은행2021-03이2A-05
KR6192521B31
2,660,282
2.61
9,870
23
한국전력공사채권1029
KR350101GA44
2,660,282
2.61
9,900
24
우리은행24-03-이표3-갑-05
KR6000032A39
2,660,282
2.61
9,887
25
우리은행25-05-이표02-갑-11
KR6000032B53
2,660,282
2.59
9,821
26
중소기업은행(신)2202할1A-16(사)
KR310503AC20
2,660,282
2.59
9,819
27
국고채권01000-2306(20-3)
KR103501GA68
2,660,282
2.59
9,826
28
롯데캐피탈413-1
KR6029691B54
2,660,282
2.59
9,803
29
산업금융채권 22신할0100-0425-1
KR310203AC49
2,660,282
2.57
9,743
30
농업금융채권(중앙회)2015-12이7Y-A
KR381101G5C3
266,028
0.26
9,998
31
신한은행25-11-이-1.5-D
KR6000016BB2
133,014
0.13
9,883
32
토지주택채권(용지)19-11
KR356102D9B1
26,603
0.03
10,345
33
국고채권02375-2303(18-1)
KR103501G836
26,603
0.03
10,047
제공 기준 시간
2022.07.04 16:01
툴팁 열기
실시간 YTM
2.42%
툴팁 열기
전일 YTM
2.41%
툴팁 열기
듀레이션
0.26
채권 분류 별: 순위, 채권분류, 비중(%) 표
순위
채권분류
비중(%)
1
국채
7.92%
2
기타금융채
13.13%
3
은행채
20.98%
4
통안채
13.16%
5
특수채
10.86%
6
현금
18.16%
7
회사채
15.79%
신용 등급 별: 순위, 신용등급, 비중(%) 표
순위
신용등급
비중(%)
1
AA+
5.24%
2
AA-
18.39%
3
AA0
7.9%
4
AAA
29.23%
5
RF
39.25%
전체: 종목명, 비중(채권분류, 신용등급, 전일, 실시간, 만기일), 만기(일수, 듀레이션), YTM(전일, 실시간) 표
종목명
비중
만기
YTM
채권분류
신용등급
전일
실시간
만기일
일수
듀레이션
전일
실시간
합계 / 평균
-
-
100%
100%
-
95
0.26
2.94
2.96
투자 유의사항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신뢰할 만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함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투자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외의 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인 경우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변동성으로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가입하시기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 및 계약권유문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