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국내주식
개인연금
퇴직연금
패시브
KBSTAR Fn K-뉴딜 디지털플러스
(368200)
공유하기
2022.05.16 기준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기업들 중 BBIG (Battery, Bio, Internet Service, Game) 각 섹터별 시가총액 상위 5종목을 선별투자하는 ETF
KBSTAR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ETF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의 비전을 구체화 할 수 있는 미래 성장 주도 산업인 BBIG 에 투자합니다.
KEY POINT
차별화된 성장 모멘텀과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판 뉴딜의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에 투자
코스피 및 코스닥 종목 중 Battery(배터리), Bio(바이오), Internet(인터넷), Game(게임) 산업의 대표종목들을 한번에 손쉽게 투자합니다.
한종목 최대투자비율(Max 10%)을 정해 분산투자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종목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종목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KBSTAR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368200)
FnGuide K-뉴딜 디지털 플러스 지수
2020.11.10
50,000
6,972,013,056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하나은행
8,67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8,715
108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09%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06%,
신탁 : 0.01%,
일반사무 : 0.01%)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KB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신한금융투자
KB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종목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종목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KBSTAR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368200)
FnGuide K-뉴딜 디지털 플러스 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20.11.10
50,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6,972,013,056
하나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8,67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8,715
거래량(주)
108
AP, LP 표
총보수(%)
연 0.09%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06%,
신탁 : 0.01%,
일반사무 : 0.01%)
분배금 지급 기준일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KB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신한금융투자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KB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지수소개
FnGuide K-뉴딜 디지털플러스지수는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기업들 중 BBIG (Battery, Bio, Internet Service, Game) 각 섹터별 시가총액 상위 5종목을 선별해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한 테마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2-05-16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삼성SDI
11.49
2
삼성바이오로직스
10.81
3
셀트리온
9.65
4
NAVER
9.64
5
LG화학
9.48
6
카카오
9.37
7
SK이노베이션
8.25
8
엔씨소프트
6.05
9
크래프톤
4.89
10
셀트리온헬스케어
4.07
업종별 비중: 순위, 업종, 비중(%) 표
순위
업종
비중(%)
1
IT
50.82
2
의료
28.42
3
소재
12.41
4
에너지
8.35
분배금 지급현황
· 최근 3년의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지해 드립니다.
분배금 지급현황 :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표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2021-04-30
2021-05-04
34
2022-04-29
2022-05-03
30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7.47
-5.46
-30.53
-29.28
-
-24.79
-16.95
툴팁 열기 기초지수
-7.49
-5.39
-30.94
-29.68
-
-24.93
-17.47
툴팁 열기 초과성과
0.02
-0.08
0.41
0.39
-
0.14
0.51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2.05.13
8,675
0.872상승
8,593.94
-3.822하락
2022.05.12
8,600
-3.316하락
8,935.54
0.904상승
2022.05.11
8,895
0.907상승
8,855.45
-0.661하락
2022.05.10
8,815
-1.232하락
8,914.38
-1.335하락
2022.05.09
8,925
-1.435하락
9,035.08
-
2022.05.06
9,055
-1.361하락
9,189.72
-
2022.05.04
9,180
-1.130하락
9,268.91
0.323상승
2022.05.03
9,285
0.869상승
9,239.02
-0.716하락
2022.05.02
9,205
-1.074하락
9,305.67
-
2022.04.29
9,305
1.251상승
9,207.96
1.732상승
2022.04.28
9,190
1.267상승
9,051.14
-1.416하락
2022.04.27
9,075
-1.035하락
9,181.16
1.715상승
2022.04.26
9,170
1.606상승
9,026.29
-2.122하락
2022.04.25
9,025
-2.114하락
9,222
-
2022.04.22
9,220
-1.810하락
9,392.33
-0.416하락
2022.04.21
9,390
-0.424하락
9,431.59
-0.722하락
2022.04.20
9,430
-0.684하락
9,500.21
1.101상승
2022.04.19
9,495
1.118상승
9,396.68
-0.563하락
2022.04.18
9,390
-0.739하락
9,449.93
-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주)/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주식수㈜ / 액면(원)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삼성SDI
KR7006400006
85
11.49
589,000
2
삼성바이오로직스
KR7207940008
60
10.81
785,000
3
셀트리온
KR7068270008
290
9.65
145,000
4
NAVER
KR7035420009
153
9.64
274,500
5
LG화학
KR7051910008
81
9.48
510,000
6
카카오
KR7035720002
499
9.37
81,800
7
SK이노베이션
KR7096770003
174
8.25
206,500
8
엔씨소프트
KR7036570000
60
6.05
439,500
9
크래프톤
KR7259960003
84
4.89
253,500
10
셀트리온헬스케어
KR7091990002
324
4.07
54,700
11
에코프로비엠
KR7247540008
35
3.61
449,500
12
포스코케미칼
KR7003670007
96
2.8
127,000
13
SK바이오사이언스
KR7302440003
69
1.94
122,500
14
SK바이오팜
KR7326030004
90
1.78
86,300
15
넷마블
KR7251270005
90
1.49
72,300
16
카카오게임즈
KR7293490009
112
1.41
55,000
17
펄어비스
KR7263750002
94
1.26
58,300
18
케이엠더블유
KR7032500001
84
0.63
32,800
19
아프리카TV
KR7067160002
27
0.61
98,700
20
더존비즈온
KR7012510004
65
0.55
36,900
21
원화예금
KRD010010001
981,516
0.23
-
투자 유의사항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신뢰할 만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함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투자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외의 증권에 투자하는 집합투자기구인 경우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변동성으로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가입하시기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 및 계약권유문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